2016년 3월 1일 오전 12:55 고전읽기 중용 제 3 일 차 12. 君子之道는 費而隱이니라 군자지도 비이은 군자의 도는 널리 사용되나(정현은 拂로 해석했으나 주자는 용의 광대함을 말한다 보았다.) 그 형체는 보이지 않는다. 夫婦之愚로도 可以與知焉이로되 及其至也하야는 雖聖人이라도亦有所不知焉하며 夫婦之不 부.. 고전읽기 대학 2016.03.01
2016년 2월 28일 오후 11:49 제 2 일 차 1. 天命之謂性이오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 인간에게 명한 것이 본성(本性)이고,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도(道)이며,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임성삼의 주(註); 타고난 그대로 사는 것이 천명(天命)이고, 타고난 본성그대.. 고전읽기 중용 2016.02.28
2016년 2월 28일 오후 11:49 제 2 일 차 1. 天命之謂性이오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 인간에게 명한 것이 본성(本性)이고,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도(道)이며,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임성삼의 주(註); 타고난 그대로 사는 것이 천명(天命)이고, 타고난 본성그대.. 고전읽기 중용 2016.02.28
제 1 일 차 中 庸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中庸은 何爲而作也오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니라 蓋自上古聖神 繼天立極으로 而道 중용 하위이작야. 자사자우도학지실끼전이작야 개자상고성신 계천입극 이도 統之傳이 有自來矣라 其見 於經則允執厥中者는 堯之所以授舜也요 人心惟危, 道心惟微,.. 고전읽기 중용 2016.02.21
새롭게 읽는 명심보감 myeongsimbogam explanation by DJLee.hwp 마음을 수련하는 기본 글 .. 읽고 읽어 마음을 닦아 보세 . 한문 명심보감 2016.02.21
2016년 2월 21일 오후 03:29 중용읽기 제 1 일 차 中 庸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中庸은 何爲而作也오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니라 蓋自上古聖神 繼天立極으로 而道 중용 하위이작야. 자사자우도학지실끼전이작야 개자상고성신 계천입극 이도 統之傳이 有自來矣라 其見 於經則允執厥中者는 堯之所以授舜也요.. 고전읽기 대학 2016.02.21
2016년 2월 14일 오후 04:32 대학읽기 5 일차 07-01 所謂修身在正其心者 身有所忿懥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 則不得 소위수신재정기심자 신유소분치 즉부득기정 유소공구 즉부득기정 유소호락 즉부득 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기정 유소우환 즉부득기정 이른바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르게.. 고전읽기 대학 2016.02.14
2016년 2월 5일 오전 09:40 고전 대학읽기 - 4일차 - 04-01 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無情者不得盡其辭 大畏民志 此謂知本 자왈 청송 오유인야 필야사무송호 무정자부득진기사 대외민의 차위지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訟事를 다스림이 내 남과 같이 하나, 반드시 백성들로 하여금 訟事함이 없게 하겠다... 고전읽기 대학 2016.02.05
각혈 오늘도 천형처럼 수많은 글을 토해내다. 시뻘건 글들이 붉어 처절하게 아름답다 검게 타들어가 못내 추해진다. 생명의 기운을 토해낸뒤 맥빠진 얼굴로 망연히 노트를 찟는다. 이윽고 저 먼곳에서 욕지기 같은 기침이 시작되고 또 다시 각혈이 숙명처럼 시작된다. 이 고통 언제나 .. 마음의 등불 - 시 , 명상 201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