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 10일 오후 08:33 고전읽기 중용 제 6 일차 마지막 27. 大哉라 聖人之道여 洋洋乎發育萬物하야 峻極于天이로다 優優大哉라 대재 성인지도 양양호발육만물 준극우천 우우대재 禮儀三百이요 威儀三千이로다 待其人而後에行이니라 故로曰苟不至德이면 예의삼백 위의삼천 대기인이후 행 고 왈구부지덕 至道.. 고전읽기 중용 2016.03.10
2016년 3월 6일 오후 04:24 고전읽기 - 중용 제 5 일 차 20. 哀公이問政한대 子曰 노공 문정 자왈 노나라의 군주 애공이 정치에 대해 물으니 선생님이 대답하셨다. 文武之政이 布在方策하니 其人存則其政擧하고 其人亡則其政息이니이다 人 문무지정 포재방책 기인재즉기정거 기인망즉기정식 인 道는敏政하고 地道.. 고전읽기 중용 2016.03.06
2016년 3월 3일 오후 11:31 고전읽기 중용 제 4 일 차 14. 君子는素其位而行이오 不願乎其外니라 군자 소기위이생 불원호기외 군자는 자신의 처지에서 분수대로 행동하고, 분수 밖의 일을 원하지 않는다. 素富貴하얀 行乎富貴하며 素貧賤하얀 行乎貧賤하며 소부귀 행호부귀 소빈천 행호빈천 부하고 귀한 처지에 있.. 고전읽기 중용 2016.03.03
2016년 3월 1일 오전 12:57 고전읽기 중용 제 3 일 차 12. 君子之道는 費而隱이니라 군자지도 비이은 군자의 도는 널리 사용되나(정현은 拂로 해석했으나 주자는 용의 광대함을 말한다 보았다.) 그 형체는 보이지 않는다. 夫婦之愚로도 可以與知焉이로되 及其至也하야는 雖聖人이라도亦有所不知焉하며 夫婦之不 부.. 고전읽기 중용 2016.03.01
2016년 2월 28일 오후 11:49 제 2 일 차 1. 天命之謂性이오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 인간에게 명한 것이 본성(本性)이고,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도(道)이며,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임성삼의 주(註); 타고난 그대로 사는 것이 천명(天命)이고, 타고난 본성그대.. 고전읽기 중용 2016.02.28
2016년 2월 28일 오후 11:49 제 2 일 차 1. 天命之謂性이오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 인간에게 명한 것이 본성(本性)이고,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도(道)이며,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임성삼의 주(註); 타고난 그대로 사는 것이 천명(天命)이고, 타고난 본성그대.. 고전읽기 중용 2016.02.28
제 1 일 차 中 庸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中庸은 何爲而作也오 子思子憂道學之失其傳而作也니라 蓋自上古聖神 繼天立極으로 而道 중용 하위이작야. 자사자우도학지실끼전이작야 개자상고성신 계천입극 이도 統之傳이 有自來矣라 其見 於經則允執厥中者는 堯之所以授舜也요 人心惟危, 道心惟微,.. 고전읽기 중용 2016.02.21